본문 바로가기

netstat2

[linux, macOS, Windows] 포트 죽이기(Port Kill) 리눅스 포트 찾기 sudo lsof -i :포트번호netstat -tnlp | grep 포트번호 포트 검색 후 PID 확인 포트 킬 kill -9 22024 Mac 포트 찾기 lsof -i :8080 포트 검색 후 PID 확인 포트 킬 kill -9 5616 Windows 포트 찾기 netstat -ao 포트 검색 후 PID 확인 포트 킬 taskkill /f /pid 5616 netstat 옵션 -n: 호스트, 포트명을 대신, IP, Port번호로 그대로 보여준다 (localhost -> 127.0.0.1, postgresql -> 5432) -a: 서버 프로세스에 사용된 소켓을 포함해 모든 소켓의 상태를 보여준다 (mysql, ssh 접속 등) -l: LISTEN 상태인 서버스 포트만 보여준다 -t:.. 2023. 12. 21.
[Windows] 포트 죽이기 (port kill) 포트 충돌 발생 시 해당 포트의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면 해결할 수 있다. 먼저 Windows 키를 누르고 cmd나 powershell을 입력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. 포트 검색 (netstat) netstat -ao 을 사용하면 활성화된 포트들을 볼 수 있다. - -a: 모든 연결 및 수신 대기 포트를 표시 - -o: 각 연결의 소유자 프로세스 ID를 표시 로컬 주소에서 종료하고 싶은 포트를 찾고 해당 포트의 PID 값을 확인한다. 사진에서 18080 포트의 PID 값은 26088 이다. 포트 죽이기(taskkill) taskkill /f /pid {pid값} 을 사용해 해당 PID의 포트를 죽인다. - /f: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 - /pid 프로세스ID: 종료할 프로세스 PID를 지정 2022. 9. 21.
반응형